p이면 q이다
와 같은 조건명제의 언어형식일때는 반례 하나만 있어도 반례법으로 거짓임을 입증할 수 있다.
또는 진리집합의 포함관계로 참을 입증할 수 있다.
반면
A는 B이다
와 같이
언어형식은 언어논리적으로 완벽히 참/거짓임을 입증하기가 쉽지 않다.
통념적으로 보아 받아들일 수 있으면 참 / 그렇기 어려우면 거짓이 된다.
일상생활에서 까지 논리를 철저하게 들이대는 경우 너무나 큰 비효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문제는.
얼마나 기쁘오
얼마나 기쁘니
일단 멈추시오
10페이지 b형오답률 2위 문제에서
1번선지 어간에 붙는다. 2번선지 선어말 어미에 붙는다.
~에 붙는다 라는 언어형식이
1. ~에만 붙는다로 해석하는 것이 옳으냐
2. ~에도 붙는다로 해석하는 것이 옳으냐 에서
논리적으로 오류가 덜한 것은 2이다
왜냐하면, 1은 범위를 매우 한정지음으로서, 거짓이 될 확률이 높은 '단언적' 언어형식이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언어/국어에서 위와 같은 언어형식은 통념적으로 2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1보다는 2로 해석하여 문제를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