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닭 앞에,몫몫이, 삯일 이것들 발음의 변화과정을 알고싶어요..

'닭 앞에'는 끝/규과 연음법칙 중 어느 것을 적용하나요?

끝/규을 적용한다면 'ㄺ/ㄻ/ㄿ+자음/(X)'이잖아요~

뒤에 있는 '앞에'의 'ㅇ'은 형식자음인데 자음으로 봐야하는지 아님 ㄺ을 어말음으로 봐야하는건지 모르겠어요~

즉, '자음/(X)'에서 (X)은 뒤에 아무것도 안올때라고 알고있는데요, '닭 앞에'와 '밟으면'의 경우 발음이 달라지더라구요., 뒤에 아무것도 안온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뛰어쓰기와 모음이 오면 안온다는 의미인지..

그리고 '앞+에'에서의 발음도 연음법칙(홑자음+모음으로 시작하는 부사격조사)적용해서 [아페]맞나요? 그리고 '앞에'는 부사격조사가 붙으니깐 부사가 되고 실질형태소가 되나요??

'몫몫이'에서는 겹받침 끝리규칙(몫)과 겹받침 연음법칙(몫이)과 된소리되기, 비음화 적용해서 [목목씨→몽목씨]가 맞나요??

'삯+일'은 ①끝소리규칙적용 [삭일]→ ②ㄴ첨가해서 [삭닐]→ ③비음화해서→[상닐] 맞나요??

 

Q2. '밟으면', '떫은'도 발음문제인데요..

책에 '밟으면'→[발브면]으로 돼있는데요, 전 끝/규 적용해서 [바브면]인줄 알았는데 틀렸더라구요..

이건 연음법칙과 끝/규 중 어느 것을 적용한건가요? '으면'은 형식형태소인가요?

'떫은'→[떨븐] 이것도 '은'이 조사라고 생각돼서 연음법칙을 적용했거든요, 끝/규도 적용되나요?

 

연음법칙에서 '겹받침(A+B)+모음(형식 형태소)' 와 끝/규의 겹받침발음에서 'ㄺ/ㄻ/ㄿ+자음/(X)'가 동시적용될 상황에서 어느 것을 적용해야할 지 헷갈려요.


Q3. ㅎ받침 발음에서요~~ 축약과 끝소리규칙중 축약이 우선적용된다고 알고있는데요~

예제를 풀다보니깐 궁금한점이 생겨서요~

'낮한때'→[낟한때]→[나탄때]

'밟히다'→[발피다]

'먹히다'→[머키다]

대부분의 예제들의 유형은 '먹히다'와 같은 경우인데 '낮한때'와 '밟히다'의 경우는 혼동이 가서요~~

이론으로는 축약이 먼저 적용인데, 그러면 낮한때를 풀면 [나찬때]가 되는데, 그럼 발음이 이상하고요..

'밟히다'의 경우도 끝/규 적용하면 '밟+자음'이니깐 [밥히다]→[바피다] 이럴수도 있을것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근데 축약이 먼저 적용된다니깐 끝/규 관계없이 ㅂ과 ㅎ이 축약되서 ㅍ으로 된다는건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데, '낮한때'와 같은 경우는 이해가 잘 안가요.. 

질문내용을 쓰면서 생각하다보니깐 또 머릿속이 엉키는거 같아요..

질문내용이 다소 이상하더라도 잘 봐주셨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