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론이나 갈등론은 모두 거시적 입장입니다. 따라서 교육의 내부보다는 외적 측면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유기체는 수동적 입장을 취합니다. 고로 개개인의 내적 측면보다는 사회에 관심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지닙니다. 상대적으로 갈등론보다는 기능론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기회를 주고 그에 대한 차별은 인정하자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개개인의 능력을 강조하는 것은 기능주의 입장입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