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페이지384 44번
문화결핍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보상굥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②문화를 고급문화와 하급문화로 구분한다.
③가정의 사회계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한다.
④교육현상을 설명하는데 문화는 중요한 요인이 아니라고 본다.
=> 답은 1번입니다. '문화결핍이론'이 무엇이고??? 나머지 선택지가 틀린이유도 알려주세요.??
2. 페이지392 68번
③과정적 평등과 보상적 평등은 내용과 관련된다.(ㅇ)
=> 보상적평등이 보장적평등과 같은말이나요?
==> 보장적평등은 기회의 평등인데 내용과 관련된다는 ②번지문은 틀린거 아닌가요?
3. 패이지431 75번
다음의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기와 위생이라는 2가지 요인에 집중하여 동기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매슬로우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에 탐색하고 있지만. 개인내부에 있는 욕구 에너지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사람에게 일에 대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를 유발시키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작업환경에 초점을 두었다.>
⑤ 자아실현에 의해서 욕구의 만족감이 생기고, 자아실현의 실패로 직무에 불만족이 생긴다.(x)
=> 틀린이유를 모르겠습니다.
4. 페이지443 120번
학교운영위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학교발전기금에 대한 사항은 국 공 사립 모두 심의 의결한다. (ㅇ)
=> 책에서 못찾아서 정확히 맞는지 확인합니다.
5.페이지444 124번
⑤사립학교에 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원구성에 관한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기타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정관으로 정한다.(ㅇ)
=> ("국립학교에 두는 학교운영위원회가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공립학교는 대톨령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시도의 조례로 정한다"고 이쓴데 ⑤번이 맞는이유 모르겠습니다.
6.페이지445 125번
해설이 이해가 안 갑니다. ( 아래 두개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또 국 공립은 둘다 포함되어있는데..)
해설: 국 공립 및 사립학교에 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원정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국 공립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원정수는 학교운영위원회의 규정으로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