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글 :
36번. 교육은 환경의 조건이 중요하다는 입장의 학파에 대한 답을 찾는 문제인데...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구성주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과 행동주의는 자극-반응으로서의 환경...이렇게 보면 답이 여러 개가 되는 것 같아요.
------------------------------------------------------------------------------------------------------------------------------------------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은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보기 때문에 불가능하고 구성주의는 답으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8번. 다중지능이론과 삼원지능이론의 공통점을 찾는 문제인데, 밑의 해설에 의하면 보기 2는 삼원지능이론과 보기 1, 3, 4, 5는 다중지능이론과 관계있다..라고 되어있거든요. 공통점을 찾는 문제의 보기와는 방향이 좀 다르지 않나..합니다.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서 지능이란 문화상황에서 가치있고 의미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혹은 특정문화상황속에서 중요시하는 산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으로 스텐버그의 실제적 지능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답은 2번입니다, 즉 1,3,4,5는 가드너와 관련되며 2는 공통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163번.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는 특수아..는 신체적, 정신적 결핍아동(보기 2번) 아닌가요? 보기 3번에는 천재아를 포함하고 있는데, 천재아동이면 영재교육쪽으로 분류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해설 그대로 일반적으로 특수아란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인 발달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면에서 정상의 궤도를 벗어난 아동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에서 천재아는 정상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특수아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꼭 알아둘 것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특수교육대상자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이 기회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특수교육대상자를 정확하게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82번. 실패경험이 많은 사람의 포부수준 설정에 관한 문제인데, 저는 실패 경험이 많다는 데에서 자아개념과 연결시켰고,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진 아동은 실패 회피 동기가 강하기 때문에 낮은 기대 수준 또는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수준을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낮은 성취 또는 실패를 하게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답을 보기 4번으로 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안되나요?
------------------------------------------------------------------------------------------------------------------------------------------
실패경험이 잦은 학생은 실패만을 피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능력보다 목표를 낮게 설정합니다.

241. 부호화에 대한 질문으로 답은 보기 4번 장기기억 속에 존재하고 있는 기존의 정보에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는 것이다..입니다. 부호화는 단기기억 속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장기기억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의미하고 정교화는 기존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4번은 부호화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정교화에 대한 설명인 것 같습니다. 그럼 답은 몇번이 되는지요?
------------------------------------------------------------------------------------------------------------------------------------------
부호화란 기존의 정보에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는 것으로 4와 관련됩니다.

250. 지각에 대한 기본 가정 중 해당하는 것을 찾는 문제인데, 저는 아무리 봐도 폐쇄성의 법칙이나 계속성의 법칙 둘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답은 보기 2번인 접근성의 법칙인데, 밑의 해설을 봐도 문제와는 상관없는 법칙인 것 같아서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가까이 있는 것은 서로 묶어서 인식하려는 경향을 접근성의 법칙이라합니다. 따라서 답은 2번입니다.